익스트림 블랙마카 1800
오늘은 제가 1년 동안 먹어온 제품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마카가 몸에 좋다는 것을 알고 나서부터 이제 품을 먹기 전엔 분말로 된 마카 제품을 먹어었는데요, 아무래도 100% 마카분말이라 가격면에서도 좀 부담이 되고 분말이라 먹기도 좀 불편하던 차에 이 제품을 알게 됐는데요, 제가 처음 구매해서 먹었을 때는 블랙마카 1600이었지만
얼마 전부터 여러 가지 함량이 더 담겨서 1800으로 판매되고 있는 제품입니다.
김종국 씨가 모델이고 역시나 운동을 하는 사람들도 섭취하면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되는 제품입니다.
저는 이것을 먹고 나서 잔뇨감이 없어졌습니다. 마카를 섭취하기 전엔 나이가 나이인지라 40 중반으로 넘어가면서 소변을 보고 나면 항상 잔뇨가 흘렀을 정도였는데 이 제품을 먹고 나서는 쉬언 하게 아주 잘 봅니다.^^
정말로요! 내돈내산으로 1년간 먹어온 사람으로서 확실히 효과를 봤고 더군다나 남자의 자존심 인 성기능 개선에 확실할 효과를 봤습니다. 마카 자체 성분에 이러한 기능을 높여주는 여러 가지 것들이 담겨 있어 꾸준히 만 섭취하면 분명 좋은 효과를 보실 거라 봅니다. 아무리 좋은 약이나 영양제도 거부감이 드는 사람은 꼭 있으니 마카알레르기나 이러한 것들이 있는 분들이라면 섭취 시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마카성분
이러한 마카에는 남성 건강에 좋다는 것은 많은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수컷 생쥐에게 마카를 7일간 복용시켰는데, 전립선의 크기는 줄고 정자의 양이 늘어난 연구와, 고환이 제거된 실험쥐에게 마카추출물을 섭취시켰을 때 발기력이 증가되고 발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감소되었다는 연구 등이 있고 21~56세의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하루에 1.5g, 3.0g을 12주간 섭취시켰을 때 8주 후부터 위 약을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성욕이 증가되었다는 보고등이 있으며, 여성의 경우에도 폐경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6주간 마카를 섭취시켰을 때 성기능이 유의하게 개선되어, 마카 섭취에 의해 성호르몬의 농도가 변하지 않았다고 보고되고 있다고 합니다.
성 기능 쪽 연구가 유독 많이 이러우진 편인데, 대조군과 비교해서 콜레스테롤과 혈당이 감소되었다는 연구 등 , 온갖 건강에 좋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어서 슈퍼푸드로 주목받고 있고, 그 때문인지 2015 년도에는 중국 쪽에서 페루 마카를 싹 쓸어가서 가격이 10배가량 폭등하는 사태도 일어났었다고 합니다.
이런 마카의 성분에는 자연상태의 마카 뿌리는 수분함량이 80%나 되고 건 조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성분의 함량은 조단백질 8.87~11.6%, 조지방 1.09~2.2%, 조회분 4.9~5.0%, 탄수화물 54.6~60.0%, 식이섬유 8.23~9.08%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분에서 나타나듯이 마카의 각종 효능을 밝힌 연구들은 인삼 관련 연구와 비슷하게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어느 정도 걸러서 받아들일 필요는 있지만, 마카에 대한 업계나 대중들의 시선을 단순한 푸드 패디즘 취급하기도 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그냥 '몸에 좋은 식품' 정도로 이해해도 무방합니다. 사실 위의 연구 등에서 밝힌 효능들은 한국인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양파, 마늘 등에서도 거의
비슷하게 나오는 효능이니 대단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지만 중요한 것은 인삼은 가격이 비싸고, 양파와 마늘은 반찬에 들어있는 것들을 섭취하기 때문에 이러한 마카제품을 아침 저녁으로 꾸준히 섭취한 것과는 확연이 차이가 있다고 보입니다.
양파와 마늘을 아침저녁으로 먹기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죠, 물론 양파즙과 마늘즙? 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것 또한 돈으로 환산한다면 지금 제가 소개하는 마카제품 하고는 가격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이죠.
즉, 정말 좋은 가성비라 할 수 있는 제품이 오늘 소개한 블랙마카 1800인 샘입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연 (Quit smoking) (0) | 2023.04.27 |
---|---|
염증(Inflammation) 만성염증, 급성염증 (0) | 2023.04.22 |
지나고 나서 후회 하지 않기. (0) | 2023.04.13 |
운동 (Exercise) (0) | 2023.04.10 |
미세먼지 시즌 초미세먼지, WHO기준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