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혈압(Blood pressure)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by 어느덧중년 2023. 4. 28.
반응형

 

오늘 혈압 수치를 재어 보았더니 이완기 혈압이 높게나왔다...
조금 있다가 다시 해보니 또 정상 혈압이 측정이 되었다.

오늘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혈압을 측정했을때 숫자가 높은것이 수축기 혈압 수치 이고, 낮은 혈압 수치가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High blood pressure)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축기 혈압은 괜찮은데 이완기 혈압이 정상혈압보다 10이상 차이나는 분들이 있으십니다. 
저 포함..ㅜㅜ 
여기서 이완기 혈압만 높은 것을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이라고 하는데요, 이런 이완기 혈압이 높아도 고혈압에 속한다고 합니다. 
결국 수축기 나 이완기 혈압 둘중 하나만 높아도 고혈압인데, 우리들이 궁금한것은 어떤 고혈압이 위험하냐 일 것입니다.
혈압을 측정을 해보면 수축기가 높은 사람이 있는 반면 이완기 혈압이 높거나 아님 둘다 정상 수치보다 높은 분들이 있는데요,
이렇듯 고혈압도 여러가지로 나뉘고 있는데 이것을 아형(subtype) 서브타입 으로 분류하는데 즉 고혈압의 세가지 아형은
IDH, SDH, ISH 으로 나뉩니다.
 
 
정상혈압과 고혈압 전단계 그리고 고혈압 아형 지표 입니다. 네번째부터 아래까지가 고혈압 아형(서브타입고혈압)

IDH 이완기 만 90이 넘는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입니다. 수축기 이완기 둘 다 높은 것이 진성 고혈압 둘 다 높지만 수축기 가 월등히 높은 것이 고립성 수축기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위 지표처럼 총 여섯가지로 분류가 되는데 아래 적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통틀어서 고혈압으로 나뉘는데, 아래에 두 가지가 가장 건강에 안 좋은 혈관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 은 나중에 건강을 봤을 때 여러 가지 논문에서 모두 아래 두 가지에 비해서 

그나마 괜찮다고 합니다. 좀 좋은 형태의 고혈압이라고 볼 수 가 있네요.. 그래도 고혈압은 고혈압.. 여기서 문제는 아래 두 개의 고혈압이 

괭장히 안 좋기 때문에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있는데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없다고 합니다.

그럼 연구도 결과도 별로 없는 외톨이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은 어떤 사람들이 잘 걸리는지 보면 인도와 중국 논문에 여자보다 남자가 잘 걸리고 나이는 40 이후와 비만인 분들이 잘 걸린다고 합니다.  그 외 에도 흡연이라던지 공기가 안 좋은 도시에 산다든지 등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 따지자면 남자, 40대, 비만 이 세 가지가 원인이라고 합니다.

이런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이 위험한가? 심혈관계 병이나 오래 살수 있나에 대해서도 연구된 논문이 많지가 않다고 하네요.. 그나마 제일 잘 된 연구가 핀란드의 헬싱키 연구가 있는데요, 핀란드에서 30세~45세 건강한 남성 3200명을 대상으로 32년간 추적 관찰 연구를 했는데요

그 결과 수축기 혈압이 140이 안 넘으면(계속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이면) 사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 즉 고립성 이완기 고혈압 환자가 수축기 혈압이 140을 넘지 않으면 사는 데에 큰 지장은 없다는 연구 결과가 있는데, 결국은 관리를 해서 낮추거나 유지를 해야 한다는 것이죠.

일본에서도 천여명을 대상으로 8년간 연구한 자료에도 이완기 혈압만 높은 사람들은 심혈관계 질병에 걸릴 확률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이완기 혈압만 높은 사람들은 SDH, ISH 환자보다 그나마 좀 괜찮아 보인다 는 것이 결론이라고 어느 의사분이 말씀하셨고요.

그리고 이완기 혈압만 높다고 해서 안심해서는 안 되는 것이 관리를 안 해주면 진성고혈압으로 발전할 확률이 23배나 높아진다고 합니다.

적절한 식이요법과 짜고 단 음식은 줄이고 주 3회 운동으로 몸과 혈관 관리를 해주어야 됩니다. 

기계도 기름칠도 해주고 닦아주고 해야 오래가듯이 사람몸도 같은 이치라 봅니다. 그냥저냥 먹고 싶은 거 다 먹고 관리를 안 하게 되면 관리 안된 자동차가 도로에서 멈추듯이 여러분 몸도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것은 아무도 모르는 일입니다. 그러기 전에 운동을 꾸준하게 생활화합시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연 (Quit smoking)  (0) 2023.04.27
염증(Inflammation) 만성염증, 급성염증  (0) 2023.04.22
블랙마카 김종국마카, 페루산마카  (0) 2023.04.21
지나고 나서 후회 하지 않기.  (0) 2023.04.13
운동 (Exercise)  (0) 2023.04.10

댓글